= -> 대입한다는 의미
오른쪽에 있는 것을 왼쪽에 대입.
-> 속성값을 속성에 대입한다.
tab -> 태그를 기준으로 뒤에 오는것들을 "자동완성" 하겠다는 의미.
ex) div.box + tab
class 선택자의 용도
=> 같은 태그들끼리 구별해주거나, 그룹화 시켜줄 때 사용함.
<div(여는태그) class(속성)="box(속성값)"></div(닫는태그)>
css 순위
**같은 순위끼리는 밑에오는 css가 힘이 강하다.
[1순위] 선택자로 선택된 class 선택자
[2순위] 혼자있는 class 선택자
[3순위] 선택자로 선택된 태그 선택자
[4순위] 혼자있는 태그 선택자
https://codepen.io/hayeong0409/pen/oNVZLEL
힘이 강한 css 복습
...
codepen.io
하이퍼링크
=> 사이트로 이동 가능한 형태
클릭해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어줘야함.
a태그에는 target이라는 속성이 포함되어있음.
기본값 : _self
속성값
1. _self => 현재 보고있는 페이지가 바뀌면서 이동 (기본값)
2. _blank => 사이트가 새 탭에 열림
title 이라는 속성
=> 속성값 입력하면 마우스를 올렸을 때 말풍선으로 나타냄.
a태그는 inline요소.
=> 만약 너비와 높이 커스텀이 필요하면 상황에 맞게 다른 display 속성값으로 바꿔 사용해야함.
a태그는 가진만큼 클릭 가능 (글씨 뿐만아니라 배경색에 커서를 올려도 말풍선이 나옴)
[노멀라이즈]
커스텀되어있는 태그를 기본상태로 돌려주는 행위
ex) a태그 노멀라이즈
a {color: inherit; text-decoration: none;}
inherit => 기본상태로 커스텀
text-decoration => 텍스트 줄 커스텀
none => 없음
노멀라이즈 주의사항
노멀라이즈와 커스텀은 이어서 작성 X
따로 작성해줘야함.
https://codepen.io/hayeong0409/pen/dyrNreN
하이퍼링크와 앵커태그
...
codepen.io
[행간조절]
line-height => 행간 조절 속성
[사용처]
텍스트 세로 중앙 정렬.
[사용법]
행간수치와 상자높이 수치를 동일하게 작성
ex) height: 50px; => line-height: 50px;
[가로 행간 조절]
브라우저에서 도형취급 받는 요소
1. block(기본)
2. flex(최신)
브라우저에서 텍스트 취급받는 요소
1. inline
2. inline-block
3. 텍스트
=> 도형인지 텍스트인지에 따라서 정렬 형태가 달라진다.
[도형 정렬 속성(코드)]
margin-left: auto; => 오른쪽 정렬
margin-right: auto; => 왼쪽 정렬
*반대이기 때문에 주의*
margin-left: auto; + margin-right: auto; => 중앙정렬
ㄴ 고무줄을 당겨서 놓을 때를 생각하면 이해가 쉬움.
오른쪽 손을 놓으면 왼쪽으로 감 -> 왼쪽정렬
왼쪽 손을 놓으면 오른쪽으로 감 -> 오른쪽 정렬
양쪽을 놓으면 가운데로 감 -> 중앙정렬
[텍스트 요소 정렬 속성(코드)]
text-align: left; => 왼쪽 정렬
text-align: right; => 오른쪽 정렬
text-align: center; => 중앙 정렬
텍스트 속성은 적용한 태그에 영향이 가기보단,
아래쪽에 있는 요소에 적용된다고 생각하면 쉽다.
ex) span 자체에 적용된다기보단, span 아래에 있는 텍스트에 적용됨.
텍스트 정렬하는 text-align속성은 움직이고 싶은 대상을 감싸고 있는 엘리먼트에 적용해야함.
ex) inline-block요소로 커스텀 상태인 span정렬 => span이 아닌 body에 적용시키기.
https://codepen.io/hayeong0409/pen/LYaWRRL
텍스트 가로정렬
...
codepen.io
[여백속성]
margin과 padding 두가지로 이루어져있다.
margin=> 오브젝트와 오브젝트 분리 , 외부 여백이라고 생각
padding=> 버튼형태에 많이 사용. 오브젝트 분리와 동사에 너비높이 포함 (감싼다라는 표현, 내부여백이라고 생각)
[padding의 특징]
1. inline요소에 padding-top과 padding-bottom을 적용하게 되면, 태그가 고정된 상태로 padding값만 적용된다.
ex) padding-top 값을 적용한거지만 화면은 이동하지않음.
https://codepen.io/hayeong0409/pen/YzgZGEL
padding
...
codepen.io
"피그마"
'웹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1 8일차 (24.01.19) , 7일차 복습 (0) | 2024.01.19 |
---|---|
웹1 7일차(24.01.18), 6일차 복습 (0) | 2024.01.18 |
웹1 5일차 (24.01.16), 복습 (0) | 2024.01.16 |
웹1 4일차 (24.01.15), 3일차 복습 (0) | 2024.01.15 |
웹1 3일차(24.01.12) , 2일차 복습 (0) | 2024.01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