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단축키>
shift+home 한문장 선택가능 => 방향키 위아래 하면 위아래 문장까지 선택 가능
end 문장끝으로 커서 옮기기
div+tap => 자동완성
ctrl+z => 이전으로
ctrl + 좌우방향키 => 띄어쓰기 기준으로 이동
shift + 좌우 방향키 => 한 글자씩 선택
ctrl+shift+좌우방향키 => 띄어쓰기 기준으로 선택
shift + 위아래 방향키 => 한 문장 전체 선택
ctrl+s => 자동저장
****마우스보다 키보드로 자유자재로 움직이기
rgba -> red, green, blue, opacity(투명도)
투명도의 설정은 소수점 단위로 설정.
태그 color 속성값 설정
1. 색상 이름
ex) div { backgroud-color : red; }
2. rgb
ex) div { backgroud-color : rgb(255, 0, 0) ; }
3. rgba
ex) div { backgroud-color : rgba(255, 0, 0, 0.5) ; }
4. hax
ex) div { backgroud-color : #ff0000; }
https://codepen.io/hayeong0409/pen/ExMgXyy?editors=1100
div 태그 특징 크기
...
codepen.io
body 크기 = 화면크기
body backgroud-color 지정 가능
html 문서는 doctype이 선언되어야함.
(codepen은 코드를 쉽게 작성하기 위한 에디터이기 때문에 doctype이 선언된 상태로 숨겨져있음)
html문서는 크게 head와 body로 구분되는데,
head => html문서에 대한 정보
body => html문서의 구조 (뼈대)
https://codepen.io/hayeong0409/pen/yLwaXby
body 크기
...
codepen.io
div = 선택자
{ } = 선언부
각 선언은 속성명과 속성값을 가지며 이는 : 콜론으로 연결.
포토샵 대지를 생성할 때 RGB와 PX단위 인지 확인 후 작업해야 함.
CMYK는 인쇄물에 사용되는 컬러(잉크물)이다. (벡터)
CMYK는 웹상에서 표현될 수 없음.
-> 팬톤 컬러는 뽑혀나온 인쇄물과 색을 동일하게 뽑을 수 있고 시각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유명하고 많이 쓰임.
rgb는 웹상에서 사용되는 컬러이다.
사진을 확대를 하면 여러개의 네모칸과 그 네모칸이 각각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짐. -> 픽셀
각각의 색상 정보를 가진 픽셀이 모여 하나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. -> 비트맵 이미지 ex) 포토샵, 웹 등
100px -> 100개의 픽셀로 설정
width (너비)는 유연함.
https://codepen.io/hayeong0409/pen/poYEwVJ
너비속성(width)
...
codepen.io
(html) div 에 아무것도 작성 안하고
(css)에 div 백그라운드 색상 지정했을 때
아무것도 안나오는 이유는?
높이가 없기 때문이다.
ex) 핸드폰에 높이가 없다면 눈에 보이지 않음.
태그가 눈에 보이기 위한 조건은
1. 너비 (width)
2. 높이 (height)
3. 색상 (backgroud-color)
위 3개 중 하나만 없어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.
텍스트가 있을 때 높이가 보이는 이유는 텍스트에는 높이가 있기 때문이다.
https://codepen.io/hayeong0409/pen/QWoKgZw
높이속성(height)
...
codepen.io
사람이 태어날때부터 머리카락, 눈, 팔, 손톱 등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처럼,
태그도 높이, 너비, 배경색, display처럼 기본값이 작동하기때문에 눈에 보임.
display => 정체성을 나타내는 속성
ex) 사람으로 따지면 여자, 남자 같은 정체성을 나타내는 속성
block이라는 정체성을 가진 태그들은 width가 기본값(auto) 일때 100% 작동.
=> width : auto = 100%
width가 auto 라는 것이 기본값이라는 뜻.
얘는 모든 태그에 기본적으로 들어가있는 값임. ( 모든 기본값 )
-> 그 값은 display가 뭐냐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는데,
그중에 block이라는 정체성을 가진 태그들은 100% 작동된다.
width: auto = 100%라는 의미는
위의 엘리먼트 너비를 그대로 사용하겠다는 뜻.
div 위에 엘리먼트는 body이고 (codepen에서는 숨겨져있음) ,
body의 크기 = 화면의 크기 이기 때문에
div도 그대로 크기를 가져와서 화면 너비만큼 나오는 것.
교재의 이론
https://codepen.io/hayeong0409/pen/WNmGOVv
div크기 원인
...
codepen.io
'웹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1 6일차(24.01.17) / 5일차 복습 (0) | 2024.01.17 |
---|---|
웹1 5일차 (24.01.16), 복습 (0) | 2024.01.16 |
웹1 4일차 (24.01.15), 3일차 복습 (0) | 2024.01.15 |
웹1 3일차(24.01.12) , 2일차 복습 (0) | 2024.01.15 |
웹1 1일차 (24.01.10) (0) | 2024.01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