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3

slideUp / slideDown 애니메이션 (03.27)

멋쟁이토마토★ 2024. 3. 27. 21:49

[ JS 식 작성 시 주의사항 ]

- html구조가 사라진 후 애니메이션이 적용되면 소용없다.

- Up을 사용했으면 Down도 사용 해야한다.

- 나오고 들어가는 구조마다 애니메이션이 전부 적용되어야 한다.


[ 사용 조건 ]

후손선택자 이벤트 find(".선택자")

$("선택자").slideUp(300);
$("선택자").slideDown(300);

[ slide 애니메이션 걸기 ]

조건에 맞는 식을 먼저 적어두고 퍼즐 끼워맞추기.

 

- 제이쿼리 후손 선택자 : find

 

사라질 때 a-box가 올라가니까  

slideUp은 removeClass로,

 

생길 땐 a-box가 내려오니까

slideDown은 addClass로 넣어주면된다.

 


선택자 자리에는 어떤것이 들어가야할까?

=> 애니메이션이 적용되야하는 선택자가 들어가야한다.

 

여기서 많이들 헷갈리는데 애니메이션이 적용되야하는 선택자를 li로 착각한다.

li가 다시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것이 아니라

a-box가 움직이는 것이다.

 


[수정]

그런데 선택자를 a-box로 지정하면 문제점이 생긴다.

하나를 눌러도 모든 a-box가 다 내려오고 올라간다.

 

선택자는 this로 적어줘야한다.

그리고 내가 선택한 것의 후손인 a-box라는 형태로 적어줘야한다. 

이래야지만 내가 선택한 것의 후손인 a-box만 적용되어 움직일 것이다.


여기서 주의사항을 살펴보면, 

- html구조가 사라진 후 애니메이션이 적용되면 소용없다.

 

우리가 지금 쓴 식은 removeClass가 되고나서 애니메이션의 식을 쓴것이기 때문에 순서를 바꿔줘야한다.


다음 주의사항은 

- Up을 사용했으면 Down도 사용 해야한다.

지켰으니 통과.


- 나오고 들어가는 구조마다 애니메이션이 전부 적용되어야 한다.

저 주의사항으로 위에있는 식까지 신경써줘야한다.

removeClass이므로 구조가 사라지는 것이고 그래서 slideUp으로 식을 적어준다.

이렇게 되면 또 모든 구조가 다 나오게 될것이다.

앞에 선택자를 더 붙여줘서

내가 선택한 것의 형제인(active를 가지고있는) 것의 후손인 a-box를 선택을해서 slideUp한다.

로 적어줘야한다.

 

구조가 사라진 후에 적으면 안되니까 순서까지 바꿔줘야한다.

 

그럼 애니메이션이 잘 들어간 상태로 모든 조건이 잘 작동하게 된다.

 

'웹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와이퍼 레이아웃 구성 (03.27)  (0) 2024.03.28
스와이퍼 (03.27)  (1) 2024.03.27
아코디언 js 구현 (03.26)  (0) 2024.03.26
아코디언html,css구현 (03.25)  (0) 2024.03.25
새로운 개념 - this (03.25)  (0) 2024.03.25